114세 할머니의 죽음
히브리서 11장 13∼16절
지난해 봄 국민일보에 사랑이 있는 마을의 김순이 할머니가 소개되었습니다.
당시 할머니는 국내에서 두 번째 고령자였습니다.
그 할머니가 건강하게 지내다가 금년 6월 15일 114세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할머니는 여섯 살에 조모를 따라 절에 가서 입적을 하고 100년 동안 불교에 몸담고 살았습니다.
할머니의 외아들은 불교계에서 꽤 알려진 서울 근교 어느 사찰의 주지승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할머니의 기독교 개종은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할머니는 개종하기까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고민과 갈등이 있었습니다.
사랑하는 손자가 암으로 죽자 ‘하나님이 살아 있으면 왜 착한 손자를 데려가느냐?’고
교회에 다니는 손녀 박인희 집사를 핍박하기도 했습니다.
함께 사는 손녀가 은혜를 받고 나서 말기 암 환자들을 돌보는 사역을 할 때
할머니는 그 모습을 지켜보며 안쓰러운 마음에 무척 힘들어했습니다.
신앙심이 일치해야 손녀딸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결단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자신을 거두어 주는 손녀딸을 생각하면 기독교 신앙을 가져야 하지만
주지승인 아들을 생각하면 개종할 수 없는 입장이었습니다.
그러던 차에 저를 만났습니다.
처음에는 “100년을 절에 입적하여 살았고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 스님이므로 길을 바꿀 수 없다”고 단호히 거절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거듭 예수님을 전했고, 할머니는 결국 마음을 바꾸었습니다.
할머니는 사람들에게 저를 이야기할 때 ‘하나님이 보내신 분’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개종이 어려웠다는 뜻입니다.
할머니는 106세에 그리스도인이 되었습니다.
신앙고백을 하고 세례를 받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나는 한 살입니다”라고 고백했습니다.
또 한 해를 보내고 나서는 “나는 두 살입니다”라고 고백했습니다.
분명한 거듭남의 체험이 있기에 할 수 있는 믿음의 고백이었습니다.
결신 이후 이름답게 믿음을 키우신 할머니는 아름다운교회에서 명예권사가 되었습니다.
할머니는 어디서 누구를 만나든 예수님을 전하다가 부름을 받았습니다.
우리에게는 돌아가야 할 본향이 있습니다.
누구도 예외 없이 다 가야 합니다.
출생으로부터 시작하여 성장과 성숙의 과정을 거쳐 병들고 쇠퇴하여 결국에는 그 길을 갑니다.
우리는 돌아가야 할 나그네입니다.
어떤 한 사람이 무덤가에 서서 묘비를 보는데,
그 묘비에 “나도 전에는 당신처럼 그 자리에 그렇게 서 있었소!”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사람은 픽하고 웃었습니다.
두 번째 줄에는 “나도 전에는 당신처럼 그곳에 서서 그렇게 웃고 있었소!”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그러자 이 사람이 뭔가 진지해져서 세 번째 줄을 읽었습니다.
“이제 당신도 나처럼 죽을 준비나 하시오!”
할 일은 많은데 세월은 쏜살같이 빠르게 지나갑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분명한 삶의 목적을 알고 살아야 합니다.
우리는 허락받은 시간 동안 하나님을 찬송하며(사 43:21),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고전 10:31),
선한 일을 위하여 살아야 합니다(엡 2:10). 이것이 우리가 지음 받는 목적입니다.
모세는 세상을 떠날 때 눈이 흐리지 아니하였고 기력이 쇠하지 않았습니다(신 34:7).
그러나 사명이 끝났을 때 하나님은 그를 데려가셨습니다.
사명이 끝나야 죽습니다.
주어진 사명을 완수하고 기쁘게 귀향하는 성도들이 됩시다.
안도현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경 책별 자료모음 (0) | 2012.09.17 |
---|---|
[스크랩] 위기 위에 계신 주 (0) | 2012.08.18 |
[스크랩] ▒ 금주의 설교 - (10편) ▒ (0) | 2012.05.21 |
[스크랩] ▒ 사순절 기도문 ▒ (0) | 2012.02.26 |
[스크랩] 가정설교 예화(49개) (0) | 201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