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루이스는 부유하거나 영리하거나 잘생겼기 때문에 사람이 교만하지는 않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더 부자이거나 또는 더 영리하거나 더 잘생겼기 때문에 교만해지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이 비교 의식이 없다면 교만이라는 단어는 이 지구상에서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바리새인이 자기가 의롭다고 감사 기도한 것은 아닙니다.
감히 고개도 못들고 기도하는 세리와 비교해서 더 낫다고 하는 교만에 빠졌던 것입니다. 당신의 비교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어떤 사람입니까? 그로 인해 얻어진 것이 무엇입니까?
때로는 우월감이겠지요. 또 때로는 열등감이었을 것입니다.
비교의식은 교만이라는 죄로부터 출발합니다.
주님은 누구를 의롭다고 하셨습니까?
“…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눅 18:14b).
나보다 남을 낫게 여기는 것이 비교 의식에서 벗어나는 비결입니다.
당신은 지금 무엇을 위해 비교하고 있는가?
남보다 우월해지기 위한 비교가 아니라 스스로의 발전을 위한 건전한 비교를 해 보라
(눅 18:9-14).
눅 18:9 또 자기를 의롭다고 믿고 다른 사람을 멸시하는 자들에게 이 비유로 말씀하시되 눅 18:10 두 사람이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니 하나는 바리새인이요 하나는 세리라 눅 18:11 바리새인은 서서 따로 기도하여 가로되 하나님이여 나는 다른 사람들 곧 토색, 불의, 간음을 하는 자들과 같지 아니하고 이 세리와도 같지 아니함을 감사하나이다 눅 18:12 나는 이레에 두번씩 금식하고 또 소득의 십일조를 드리나이다 하고 눅 18:13 세리는 멀리 서서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 보지도 못하고 다만 가슴을 치며 가로되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옵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하였느니라 눅 18:14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사람이 저보다 의롭다 하심을 받고 집에 내려 갔느니라 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하시니라
1. '주님의시선' 카페와 카페지기가 섬기는 '마산시민교회'가 더 풍성해 질 수 있도록 기도를 부탁합니다.
2. 마산시민교회가 주님의 전도전략을 따라 제자삼는 사역을 통하여 주님의 지상명령을 감당해 나갈 수
있는 교회가 되도록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
사랑과 겸손 (본문 : 빌 2:8)
겸손을 남을 높이고 자신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겸손이 현대 사회에서는 자신이 높아지려는 생각을 밑바탕에 두고 치밀하게 가식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겸손의 진정한 의미를 잘못 이해하고 있습니다. 즉 겸손을 예의상 한번 양보하거나 자신이 높아지려는 수단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에는 겸손이 사랑의 본질로서 우리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엄격하고 주의깊게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과 함께 성도들은 왜 겸손해야만 하며 어떤 겸손을 추구해야 하는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기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딤전1:15)
1) 자신의 죄인 됨을 알아야 함 우리는 죄인들입니다. 아니 우리가 죄인이라고 시인하기에 앞서 성경은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다"(롬3:10)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에는 자기들이 죄인이라고 인식하지도 못하고 오히려 의로운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자신들의 의로운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이 잘못되었음에도 지극히 당연시하고 당당하게 살아갑니다. 그러나 자신이 죄인임을 의지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근신하고 겸손하게 살아갑니다. 예수님을 영접한 베드로는 주님의 무릎 아래 엎드려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눅5:8)라고 했으며, 세라는 다만 가슴을 치며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옵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눅18:13)라는 고백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바울도 "조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딤전1:15)고 하면서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겸손한 삶을 살았던 것입니다.
2) 자기를 내세우지 않음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합니다. 만약 사람들이 자신의 일생을 한눈에 볼 수 있다면 행동을 조심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오늘의 시대를 자기 P.R 시대라고 해서 흔히 좋은 것은 과대 포장하고 나쁜 점은 축소해서 말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그러나 진정하게 자기 자신을 알고 하나님 앞에서 겸손함을 추구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내세우지 않을뿐더러 자기에게 맡겨진 책임을 성실하게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자기 자신을 정확하게 알고 살아가는 사람은 자신의 죄인 됨과 부족함을 알기에 가식적인 겸손을 추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2. 섬기는 자의 모습을 가져야 합니다(눅22:27)
1) 주님께서 섬김의 모습을 보이심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이 남보다 못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여기에 남을 섬기는 자세의 어려움이 있으며 그러기에 섬김은 누구나 할 수 있는것이지만 누구나 하는 것은 아닙니다. 혹 자신의 유익을 위하여 섬김의 모습을 취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유익을 통한 섬김이 진정한 섬김의 모습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섬김은 누구나가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참된 섬김은 자신을 온전하게 낮추지 않고서는 불가능합니다. 섬김을 통하여 유익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섬기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섬김이며 참된 겸손의 모습인 것입니다. 주님은 이러한 섬김은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 주셨습니다. 주님은 자신을 온전하게 낮추셔서 우리와 같이 되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이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섬기러 오셨다고 하셨으며(참조,마20-28) 제자들의 발을 친히 씻어 줌으로써 우리에게 섬김의 도리를 보여 주셨습니다.(참조,요14:113)
2) 죽기까지 우리를 사랑하심 세상의 집권자 중에는 자신의 임의대로 권력을 남용하여 빈축을 사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 가운데 자신의 권세를 이용하여 무엇인가를 성취하려는 자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우리에게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너희 종이 되어야 하리라"(마20:17)고 말씀하십니다. 성도 여러분, 으뜸이 되고자 하는 생각을 가지고 남의 종이 되는 것이 쉬운 일입니까? 하지만 무엇인가를 성취하기 위해서 결심을 굳게 하고서 노력하면 가능할 것입니다. 문제는 진정한 섬김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흔히 생각하는 대로 죽음은 이 세상에서 모든 것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님은 자신의 유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의 유익을 위하여 죽기까지 우리를 사랑하셨던 것입니다.(참조,빌2:8) 죽음까지도 감수하면서 우리를 사랑한 사랑이야말로 진정한 겸손의 모습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3. 사랑의 수고를 감당하는 것입니다(고전13:4,5)
1) 남의 유익을 구함 자신의 유익을 의식하지 않고서 겸손한 모습으로 남의 유익을 구하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게다가 남을 위하여 자신의 권리를 자진해서 포기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것입니다. 특별히 오늘날과 같이 이기주의가 만연한 세상에서 남의 유익을 구하는 모습은 우둔한 행위로 비웃음을 사거나 의혹의 눈길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웃음, 질시, 의혹의 눈길도 진정한 겸손 안에서 남의 유익을 구한다면 그러한 것은 잠시뿐일 것입니다. 수치와 고난은 그 사람의 겸손이 진정한가 아닌가를 판가름하는 척도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진정한 겸손은 그러한 수치나 수욕을 극복해 나갑니다.
2) 수고하는 사랑을 행함 바울은 사랑의 본질에 관하여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고전13:7)고 했습니다. 친구든 적이든 믿음을 가졌든 안 가졌든 간에 주님께로부터 은혜를 받은 우리는 하나님의 진리를 믿고 모든 사람을 위하여 수고하는 사랑을 하여야 합니다. 자신을 돌보지 않고 수고하는 사랑을 행할 때 진정한 겸손이 되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진정한 겸손을 가지고 있습니까? 남을 위하여 수고하는 사랑을 행하십시오. 주님은 이처럼 실천하는 겸손을 기쁘게 여기십니다.
결론 "사람의 마음의 교만은 멸망의 선봉이요 겸손은 존귀의 앞잡이니라"(잠18:12)고 했습니다.
사랑의 본질로서 진정한 겸손은 그 자체만으로 끝나고 유익이 없다고 할지라도 순종하는 것이야말로 하나님이 어여삐 보시는 겸손의 행위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도 사랑의 하나님, 저희가 주님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사랑의 본질인 겸손을 실천하지 못한 적이 많습니다. 이제는 자신의 유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남의 유익을 위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진정으로 깨닫고 겸손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옵소서. 또한 제 마음 안에 있는 교만을 깨닫게 하셔서 제하여 버리도록 도와주시고 오직 겸손만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