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목단피(목단) - 치료 약제 건강 상식 / 민간요법 건강관리 유익한정보 알아두면좋아요

은이dii 2013. 3. 21. 09:31

치료 약제 건강 상식 / 민간요법 건강관리 유익한정보 알아두면좋아요 =  목단피(목단)

 

목단 1     목단꽃 2        목단 열매 2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관목. 목단이라고도 한다.
높이 1∼2m. 나무껍질은 흑회색이며, 가지는 굵고 털이 엷으며 성기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2회 3출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꼴 또는 달걀꼴 바소꼴로 길이 5∼10㎝이고, 뒷면은 잔털이 있고 흰색을 띤다.

5월에 새 가지 끝에 흰색 또는 빨간 자줏빛이 도는 꽃이 1개 핀다.
꽃의 지름은 10∼17㎝이며 5∼8장의 꽃잎이 달린다.
꽃잎은 거꿀달걀꼴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3∼5개이며, 씨방은 밑부분이 꽃턱으로 둘러싸여 있다.
열매는 달걀꼴의 대과(袋果)로서 노란 갈색의 짧은 털이 빽빽이 나며, 8∼9월에 익어 안쪽이 세로로 갈라진다.

작약은 모란과 비슷하지만 여러해살이풀이며, 잎은 겉면에 광택이 나고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많은 원예품종이 있으며, 꽃의 색깔은 흰색·담홍·주홍·보라·암자홍·노랑 등이 있다.
번식은 접붙이기·포기나누기·씨뿌리기로 한다.
이식의 적기는 8월 하순∼9월이며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내한성이 있다.

뿌리의 껍질은 목단피라 하여 한방에서는 소염·진통제로서 충수염·월경통·부스럼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중국 서부가 원산지이다.

목단은 내한성의 낙엽관목으로 중국 서부 원산이며 신라시대 선덕여왕의 기록으로 미루어 중국에서 도입된 귀화식물로 추측된다.
내한성이 강하여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지만, 충북 단양군, 제원군과 전남 화순군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목단의 비후한 뿌리의 껍질을 약용으로 하며 근피에는 정유와 파에오놀(paeonol), 파에오노사이드(paeonoside) , 파에오놀라이드(paeonolide), 파에오니프로린(paeoniflorin), 옥시파에오니프로린(oxypaeoniflorin), 알비프로린(albiflorin), 벤조일파에오니프로린, 벤조옥시파에오니프로린, 파에오닌, 아스트라갈린, 펠라고닌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실제 어떠한 물질이 약리효과를 나타내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약리작용으로는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통경작용, 항염증작용, 위액분비억제작용, 진정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열을 내리며 혈열을 없애며 피순환을 돕고 어혈을 흩어지게한다.

고름을 빼내고 골증열을 없애며 고열증상으로 나타나는 각종 출혈에 효과가 있다.

목단피는 청혈, 활혈시키고 어혈을 푸는 작용이 있으면서 피부의 발진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 헐열로 피를 게우는 데 코피, [발반], 생리장애, 생리가 없는 데,적취, 징가(아랫배 속에 덩어리가 생긴 병증), 장웅, 타박상, 삔 데, 고혈압, 알레르기성 비염등에는 하루 6 ∼ 12g을 달임약 ㆍ 알약 ㆍ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 장웅이 오래되어 몸이 약해지고 차며 배가아프고 때로는 항문으로 피고름이 나오는 데는 목단 ㆍ 인삼 ㆍ 천마 ㆍ 백봉령 ㆍ 단너삼 ㆍ 율무쌀 ㆍ 복숭아씨 ㆍ 구릿대 ㆍ 당귀 ㆍ 천궁을 각각 4g, 육계 ㆍ 감초 각 2g, 목향 1.2g을 물에 달여 먹는다.

♠ 여드름에는 목단피 180g과 시금치 120g을 물 두대접을 붓고 끓인 물로 세수를 한다.

♠ ×××금기 : 임산부에게는 사용을 금한다.

 

 ☆ ~~~~ =   ? -- 클릭 하면 좋은일이 ~~~~ ☆

 
 전국꽃배달 ▲ 클릭  회원 20% 할인혜택 전국꽃배달 ▲ 클릭   회원 20% 할인혜택

 

  잘 보셨나요. 카페는 댓글만을 먹고 산데요 하나만 부탁해요.

출처 : 여행정보- 펜션 민박 모텔 팬션 맛집 관광 코스 지도 가볼만한곳
글쓴이 : 김 우 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