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강좌] 마이크로폰
새해에는 모든 하시는 사역과 직무가 잘 되시기를 소원합니다.
이번설연휴는 기간도 짧고 주일과 겹쳐서 교역자님들이나, 많은 성도님들이 여러가지로 여유가 없으시겠네요..
이 글을 읽으실 때 쯤에는 잘 도착하셨거나, 집에서 편히? 쉬시는 분들이겠네요.
짧은 행복하고, 가족간의 사랑이 넘치는 설연휴가 되세요.
오늘은 마이크로폰에 관하여 이야기 하겠습니다.
줄여서 마이크라고 이야기하는 이 장치는 전기음향의 시작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마이크로부터 좋은 사운드를 얻어야 처리와 증폭의 과정에서 최소의 왜곡으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마이크의 구분
* 마이크는 구조적으로 다이나믹과 콘덴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이나믹마이크라함은 소위, 노래방 마이크같은 모양을 가진 마이크를 말하며 외부의 영향(충격)에 강하고, 주파수특성이 평이하여 어디에서나 잘 어울립니다.
콘덴서마이크는 다이나믹마이크에 비하여 감도가 예민하고, 정교하여 녹음 및 전문성있는 환경에 적합합니다.
단점으로는 온도나 습도, 외부충격에 민감하고, 외부전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가격이 비쌉니다.
* 마이크는 그 지향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도 구분합니다.
단일지향성 - 말 그대로 한쪽 방향으로만 수음이 되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 특징은 하울링에 강하고, 보컬 및 스피치용으로 좋습니다. 다이나믹형 마이크에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초지향성 - 단일지향성이기는 하지만, 수음의 범위가 멀고 그 폭이 좁아 원거리 수음용으로 좋습니다. 특히, 합창단(성가대) 또는 엡비언스(주변음) 수음용등으로 좋습니다. 보통 콘덴서형 마이크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양지향성 - 단일지향성 타입을 양쪽으로 붙혀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변스위치가 있어 단일지향성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양쪽으로 수음이 가능하기 때문에 역시, 중창,합창,녹음등 여러사람을 대상으로 수음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역시, 콘덴서형 마이크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무지향성 - 말 그대로 지향성이 없는 것을 말하며, 특정 방향이 아닌 360도 어느 방향성에서도 수음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며, 특수목적에 많이 사용합니다.
마이크에 관해서는 이쯤에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간략히 구분할 수 있는 정도로 기술하였지만, 혹시라도 더 궁금하신게 있으시면, 댓글에 질문하여 주시면 자세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좋은 설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